재래시장에 들러 싱싱한 식품을 적당량 사서 바로 요리해서 먹는 생활이 반복되다 보면, 우리는 곧 냉장고가 어떤 존재인지 알게 된다.
냉장고는 인간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본을 위한 것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될 테니까. 냉장고와 대형마트는 공생 관계에 있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냉장고를 대량생산하는 거대한 산업자본, 대형마트를 운영하는 거대 자본,그리고 그곳에 진열된 식품들을 대량으로 만드는 또 하나의 산업자본이 도사리고 있다.
묘한 공생 관계 아닌가. 냉장고는 대량생산된 식품들을 전제하고 있고, 대량생산된 식품들은 냉장고가 없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이제야 냉장고와 대형마트 사이를 시계추처럼 왔다갔다하던 우리 모습이 제대로 눈에 들어온다. 그 사이에 가족들의 건강, 이웃과의 공동체 생활, 생태, 재래시장 그 모든 것이 파괴되고 있었고, 거대 자본은 그 덩치를 늘려갔던 것이다. 한국 철학자의 글이다.
냉장고가 자본의 첨병이면서 공동체 생활의 파괴자란다.
난 국민학교 3,4학년때부터 엄마 심부름을 하면서 자랐다. 3남1녀중 여동생을 둔 막내론 불가피했다. 여름이면 3,4일에 한번 김치를 담갔다. 담근 후 냉장고가 없으니 우물 속에다 끈으로 묶어 항아리 넣어놓고 꺼내 먹었다.
그땐 동네에 냉장고 있는 집이 하나였나 그랬다. 열무김치 담글때 내가 빨간 물고추부터 돌절구에 갈기 시작한다. 마늘, 생강 들어가면 엄마가 씻은 열무, 파, 양파, 젓갈 넣어 절구에서 비볐다. 3일마다 였다.
수박도 사면 얼음을 같이 사서 화채를 해먹거나, 우물에 넣었다가 몇시간이 지나야 먹곤 했었다.
냉장고는 과학기술이다. 가사노동을 줄이고, 쉽게 부패하는 농수산물 수명을 늘려 보관하는 문명의 이기다.
아무리 대자본의 시대라 하더라도 자동차를 없애고 마차 타거나, 걸어다닐 순 없지 않나..
|